Nestjs (4) 썸네일형 리스트형 <Nestjs> nestjs 에서 prisma 사용하기 / Sequelize, TypeORM 대신 / npx prisma Prisma!!! Sequelize, TypeORM 말고 왜 나는 prisma를 썼냐? 답은 간단하다 테이블 생성하는게 진짜진짜 간단해보인다.... 그래서 예시를 보자마자 바로 이걸 쓰겠다고 마음먹었다ㅋㅋㅋ (하지만 블로그글은 typeorm이 훨씬 더 많았다ㅎㅎ 대신 우리에겐 Doc가 있다..!!!) 예전에 처음 Sequelize를 사용했을때 직접 쿼리문을 작성하지 않고도 원하는 대로 테이블을 생성해주는 것에 진짜 너무 기뻤는데 훨씬 사용하기 편해보이는 라이브러리라니...!!! 너무 좋아!!! 여기까지가 선택한 이유이고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작성해 보겠다. 1. prisma 설치, 내가 쓰는 RDBMS에 맞게 기본 설정하기 $ npm install prisma --save-dev // 설치 $ npx.. <Nestjs>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nestjs 설치 및 기본 명령어 / 테스트 코드 없이 생성 / --no-spec 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Nestjs는 프레임 워크이다. 명확하게 어떤건 무조건 라이브러리이고 어떤건 무조건 프레임워크라고 하기 어렵다. 내가 이해한대로 설명하자면 코드를 실행시켜주는 주체가 누구이냐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코드를 실행시키는게 난데 이게 무슨소리??' 라고 할 수 있는데ㅋㅋㅋ 미리 정해진 틀에 맞춰서 써야지만 사용이 가능한 것은 프레임워크, 내가 비교적 자유롭게 코드를 사용하고, 대체가 비교적 쉬운 것이다. 예를 들어서 웹페이지를 만드는데 jQuery를 사용했다고 하자. 아시다시피 이렇게 '가져다가' 쓰는 느낌이다. jquery 대신에 javascript로 대체도 가능하고 바꾸기도 쉽다! 그리고 프레임워크는 지금 하고있는 nestjs를 예로 들면 .. <Redis> nestjs에서 레디스 사용하기 / redis 테스트 코드 지난 글에서 레디스로 로컬에서 캐시서버를 구동시키는 설정을 했다. 이제 내 프로젝트에서 레디스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살펴보자 일단 Nestjs에서 제공하는 cache-storage 특화모듈을 설치한다. in-mamory 스토리지 사용을 위해 아래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cache-manager $ npm install -D @types/cache-manager +) 이미지를 보면 내 디렉토리 구조를 볼 수 있는데 나는 app.module.ts로 필요한곳에 캐시모듈을 뿌려주는 것이 아니라 후에 추가하느라 따로 모듈과 서비스등을 만들고 필요한 곳에만 의존성을 추가해주었다. 여튼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이 import 하는 부분이다. cacheMo.. <Nestjs> nestjs 에 손을 대게 된 계기 nestjs를 시작하게 된 계기! 거창할 건 없지만 나는 프론트 엔드 개발자로는 적성과 재능이 없다는 것을 일찍이 깨달았다.... 그동안 해왔던 (간단한 웹 페이지등을 만드는) 개인 작업물들을 발표하거나 중간 작업을 보여줬을 때 반응이ㅋㅋㅋ 썩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 눈에는 괜찮은 디자인이었는데....?ㅋㅋㅋㅋㅋ 그래서 프론트는 내 적성이 아니라고 일찍이 깨닫게되었다ㅋㅋ 다행히 디자인을 복잡하게 하지 않아도 그럭저럭 괜찮은 어플만드는데에 관심이 좀 더 있었고 어플을 만들다보니 db 데이터 관리에 자연스럽게 흥미가 생겼다. 그래서 개인 프로젝트 다음 팀플에서는 백엔드를 맡아봐야겠다고 마음먹고 있었다. 그래서 기업협업 프로젝트를 기획하면서 팀원들과 역할 분담을 할때 덥썩 백엔드를 맡겠다고 했다. 이때까지만.. 이전 1 다음